일본기업의 인도러쉬, 심상치 않다

편집부 | 입력 : 2012/04/30 [08:00]

최근 일본기업이 인도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주인도 일본대사관에 따르면 인도에 진출한 일본기업은 2006년 초 267개사에서, 2011년 말 812개사로 3배나 증가했다. 일본기업들의 對인도 투자규모도 매년 급증하고 있는데,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에는 전년대비 60% 증가한 24.9억 달러를 투자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의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 중 86%가 2012년 인도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인도시장에 대해 비관적으로 판단했던 일본기업들은 최근 인도 내수시장이 급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큰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기업들이 휴대폰과 가전 등의 분야에서 맹활약을 보이자, 불안한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인도 진출전략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부 주도의 양국 협력체제를 적극 활용한다는 점이다. 인도 정부는 연간 2,000억엔 이상의 ODA자금을 인도에 지원하며 인프라개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작년 인도를 방문한 노다총리가 델리-뭄바이 산업회랑(DMIC)프로젝트에 45억불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 밖에 델리-뭄바이 화물전용철도(DFC)에도 총 프로젝트비용의 80%인 3,250억루피(약 8조1천억원)를 일본 ODA자금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인도 인프라진출의 방식이 더욱 과감해지고 있는데, 올해 1월 일본 경제산업성 에다노 장관은 타밀나두 州정부와 인도 남부 거점인 첸나이에 일본 전용공단 및 미니신도시를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일본식의 상업시설, 학교, 병원, 주거시설 등을 개발하는 인프라수출 사업이다.

일본기업은 한국기업과는 달리 M&A나 합작투자 방식의 진출을 선호한다. 리스크를 줄이고 인도 파트너와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서다. M&A나 합작투자를 통해 인도 기업의 유통망·생산시설·노하우·브랜드 등을 공유하고 비즈니스 기반을 조기에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올해 초에는 미쓰비시 전기(Mitsubishi Electric)가 인도 메셍 그룹(Messung Group)을 인수하기도 했다.

최근 발효된 일본·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인도는 통신·건설·광고 등 86개 분야를 개방했으며 투자자 보호제도를 마련해 투자환경을 개선했다. 또한 수입액 기준 90%에 달하는 시장이 개방돼 관세가 10년에 걸쳐 철폐될 예정이므로 양국 간의 무역규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일본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반영하듯, 인도에 진출한 일본기업들의 투자규모가 금액기준으로 한국의 9배에 달하고 있다. 최근 일본기업들은 인도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이 진출에 성공한 자동차·전자·인프라 분야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 기업들은 일본기업의 동향에 대비해 한·인도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한·인도 CEPA의 경우, 대부분 8년 내에 관세가 철폐되기 때문에 일본에 비해 철폐속도가 빠르다는 점을 유효한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00% 단독투자방식 뿐 아니라 M&A나 합작투자도 검토하는 등 다양한 인도 진출 시도를 검토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브랜드가치 제고도 요구된다.

배창헌 KOTRA 글로벌정보본부장은 “일본기업들이 한국 기업들의 성공사례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고 있는데, 우리기업도 역지사지로 일본기업들의 전략을 적극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