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이 만든 한자 제8강 -보일 시(示)

신사야(神事也)-‘신을 섬김이다.’
런던타임즈 LONDONTIMES | 입력 : 2008/06/22 [20:07]
일곱 번 째 글자 ‘보일 시(示)’ 자를 보겠습니다.
 
 흔히 이 ‘보일 시(示)’ 자는 어떤 한자를 이루는 왼편에 오기 때문에 보일 시(礻) 변이라고 일컫습니다. 실제 각 자전에 수록되어 있는 부수 일람표에는 ‘보일 시(示) 변’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한자가 과연 ‘보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뜻밖에도 이 ‘보일 시’가 변으로 쓰일 때 축복을 뜻하는 ‘복 복(福)’자나 복을 뜻하는 ‘복 상(祥)’ 자가 되는데, 과연 무엇이 보여서 복을 받고 상서로운 것인지 반문하고 싶습니다. 잠시 또 허신 선생을 만나러 가 보겠습니다.

허신은 이 ‘보일 시(示)’자를 풀이하기를 ‘신사야(神事也)’라고 하였습니다. ‘신을 섬김이다.’ 그러므로 이 ‘보일 시(示)’ 자는 ‘신을 섬길 시(示)’라고 해야 마땅할 듯 싶습니다. 줄여서 ‘하나님 시(示)’ 자입니다.
왜냐하면 단옥재(段玉栽)는 이 ‘示’ 자를 풀이하기를 “고문(古文)에 위에 있는 ‘두 이(二)’자는 ‘윗 상(上)’자요, 밑에 세 개가 드리워 진 것은 ‘일월성야(日月星也)’ 라고 하였습니다.” 즉 위에 있는 두 이(二) 자는 윗 상(上) 자의 옛 고문자요, 밑에 있는 ‘작을 소(小)’ 자는 해와 달과 별을 뜻합니다. 창세기 1장 16절에 “하나님이 두 큰 광명을 만드사 큰 광명으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으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셨다”고 하였습니다.
 이 내용과 너무 정확히 들어맞아서 오히려 제가 미안할 따름입니다. 왜냐하면 이런 내용을 간과한 채 ‘보일 시(示)’ 라고 가르쳐 왔던 사람들이 틀렸다는 것이 너무 명확해졌기 때문입니다. 이 시간 이후로 우리는 보일 시 자를 하나님 시 자로 바꿔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래야지 한자를 정확히 파자(破字)하여 뜻을 풀이할 수 있습니다.
 
 부수(部首)란 어떤 한자의 중요한 부분 글자라고 하였습니다. 부수 한자는 전체 한자의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다른 명칭을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한자의 왼쪽에 위치하는 부수를 ‘변(邊)’이라고 하고,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수를 ‘방(傍)’이라고 하며, 위쪽에 위치하면 ‘머리’ 혹은 ‘두(頭)’ 라고 하고, 아래에 위치하면 ‘받침’ 또는 ‘발’이라고 합니다.
글자의 왼쪽에 위치한 부수를 ‘변’이라 한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사람 인(人)자가 왼쪽에 위치한 글자, 예를 들어 ‘믿을 신(信)’ 자에서는 ‘사람 인(亻) 변’입니다. 오른 쪽에 부수가 위치해 있다면 ‘방’이라고 합니다. 이때 ‘방(傍)’자는 ‘곁 방(傍)’ 자입니다. 가령 부수(部首)라는 단어의 ‘부분 부(部)’ 자는 오른 쪽 위치해 있는 한자가 부수이기 때문에 ‘고을 읍(阝=邑)방’ 부수라고 합니다. 그리고 위에 부수가 위치할 때는 이것을 ‘머리’ 혹은 ‘두(頭)’ 라고 하는데 갓머리(宀:집 면)니, 민갓머리(冖:덮을 멱)니 했을 때 이 명칭을 사용했던 것을 기억할 것입니다. 풀 초(草)자가 들어가는 글자를 우리는 ‘초(艹) 두’라고 합니다. 또 밑에 위치하는 부수 한자를 ‘받침’ 또는 ‘발’이라고 하는데 ‘민책받침(廴:길게 걸을 인)’이니 ‘책받침(辶:쉬엄쉬엄 갈 착)’이니 할 때 이 이름이 들어감을 확인하였습니다.
 
바로잡기-성경이 만든 한자 제 6강-장부야 종대일(丈夫也 從大一)을 제 7강으로 바로잡습니다.
<런던타임즈 www.londontimes.tv>
  • 도배방지 이미지